해설:
날이 새자 사람들은 예수님을 총독 관저로 끌고 갑니다(28절). 그 사이에 가야바 주재 하에 산헤드린 공회가 열려 예수님을 사형수로서 로마 총독에게 고발 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저자 요한은 그 장면을 기록하지 않습니다. 유대인들이 이방인의 집에 들어가면 부정 해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빌라도는 총독 관저 바깥에서 그들을 만납니다(29절). 빌라도는 예수님의 죄가 무엇인지 유대인들에게 물었고, 그들은 자신들이 이미 그의 죄를 확정했다고 답합니다(30절). 빌라도는 유대인들 내부의 일에 개입하고 싶지 않았기에 그를 데리고 가서 그들의 법대로 재판하라고 말합니다(31절). 당시에 로마 정부는 산헤드린 공회에게 상당한 자치권을 허용해 주었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우리는 사람을 죽일 권한이 없습니다”라고 응답합니다. 실제로 사형을 집행하는 일만큼은 총독의 권한에 있었습니다. 결국 예수께서 거듭 예고하신 그 일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32절).
일이 생각처럼 풀려 나가지 않자 빌라도는 관저 안으로 들어가서 예수님과 독대합니다. 그는 “당신이 유대 사람들의 왕이오?”(33절)라고 묻습니다. 그의 눈에는 그럴 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자 예수께서는 “당신이 하는 그 말은 당신 생각에서 나온 말이오? 그렇지 않으면, 나에 관하여 다른 사람들이 말하여 준 것이오?”(34절)라고 물으십니다. 빌라도는, 자신은 유대인이 아니니 자신과는 상관 없는 일이라고 대답합니다(35절). 그러자 예수님은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오. 나의 나라가 세상에 속한 것이라면, 나의 부하들이 싸워서, 나를 유대 사람들의 손에 넘어가지 않게 하였을 것이오. 그러나 사실로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오”(36절)라고 답하십니다.
빌라도는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는 “이 세상에 속한 나라”만 아는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그러면 당신이 왕이오?”(37절)라고 재차 묻습니다. 이 질문은 “왕이란 말이오, 아니란 말이오?”라고 물은 것입니다. 예수님은 “당신이 말한 대로 나는 왕이오. 나는 진리를 증언하기 위하여 태어났으며, 진리를 증언하기 위하여 세상에 왔소. 진리에 속한 사람은, 누구나 내가 하는 말을 듣소”(37절)라고 답하십니다. 그러자 빌라도는 “진리가 무엇이오?”(38절)라고 반문하며 자리를 피합니다. 그리고는 유월절 특사의 관례를 빌미로 예수님을 석방 시키려는 꼼수를 부립니다만, 그것마저도 실패로 끝납니다(38-40절). 요한 저자는 “바라바는 강도였다”고 썼지만, 유대인들에게 잘 알려진 혁명투사였을 것입니다. 로마 정부는 그를 강도라는 혐의를 뒤집어 씌워 구금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묵상:
빌라도는 예수님과의 대면에서 무엇인가 강렬한 느낌을 받았을 것입니다. 예수님이 하시는 말씀을 다 이해할 수 없었지만, 자신이 아는 세상과는 다른, 영원하고 절대적인 세상에 대해 말씀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 했을 것입니다. 또한 예수님에게서 영원한 왕의 위엄을 느꼈을 것입니다. 그분의 표정과 눈빛과 말씀이 자신을 압박해 오는 것을 느꼈을 것입니다. 그분 앞에서 그는, 자신이 껍데기이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권력이 무력하다는 사실을 느꼈을 것입니다. 모든 것을 내려 놓고 그분 앞에 무릎 꿇고 싶은 거룩한 충동이 그의 마음 깊은 곳에서 솟아 났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는 내려 놓기에는 너무나 많은 것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그는 “진리가 무엇이오?”라고 반문하며 자리를 피합니다. 그에게는 진리에 대한 갈구가 있었지만 그것을 얻기에는 너무 먼 곳에 와 있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빌라도 앞에서 예수님이 심판을 받고 있는 모습이지만, 실은 예수님 앞에서 빌라도가 심판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그 심판에서 빌라도는 진리의 도전을 외면함으로써 스스로 유죄 판결을 자초합니다.
우리는 진리의 나라에 속해 있습니다. 우리의 영원하고 절대적인 왕은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자신이 가진 것을 잃지 않기 위해 “진리가 무엇이냐?”고 물으면서 예수님에게 등 돌리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고 불행한 일인지 우리는 압니다. 우리는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요 14:6)라고 하신 주님을 따릅니다. 한 눈으로 이 땅을 보고 다른 한 눈으로 하늘을 바라 보면서 진리의 나라에 속한 사람으로 살아가기를 기도합니다. 이 세상에 속한 것을 다 잃어도 진리의 나라에 속해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