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이 시편은 다윗의 탄원기도입니다. 학자들은 이 시편이 원래 71편과 하나였는데, 편집 과정에서 분리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하지만 처음(1절)과 끝(5절)이 같은 간구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수미쌍관법) 독립된 시편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다윗은 그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2)로부터 위협을 당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그가 재난 당하는 것을 기뻐하며 깔깔대며(개역개정 “아하, 아하”) 조롱합니다(3절). 그들의 공격으로 인해 다윗은 위협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그는 하나님께 구원을 청합니다. 그가 하나님께 구원을 청하는 근거는 오직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그래서 그는 “주님, 너그럽게 보시고 나를 건져 주십시오”(1절)라고 기도합니다. 그는 “주님을 찾는 사람은 누구나”(4절) 구원을 경험하고 하나님께 “주님은 위대하시다”(4절)라고 찬양하게 해 주시기를 구합니다.
그러기 위해 하나님은 지금 곤경에 처해 있는 자신을 구해 주셔야 합니다. 다윗은 이런 근거에서 “빨리” “지체하지 말고”(5절) 자신을 구해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합니다.
묵상:
때로 믿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존재의 증거가 됩니다. 사람들이 믿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보고 하나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신실하게, 진실하게, 철저하게 의지하고 사는 사람들에게 불행한 일이 일어나면 그것 보라고, 하나님이 어디에 있느냐고 조롱합니다. 하나님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생은 랜덤이라고 말합니다. 이런 상황에 처하면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마음이 아픕니다. 자신이 고통 당하는 것은 견딜 만한데, 자신으로 인해 하나님이 모욕 당하는 것은 참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그 곤경에서 구해 주셔서 자신을 지켜 보는 사람들이 하나님을 찬양하게 해 달라고 청합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 판단이 언제나 진실은 아닙니다. 믿는 이들이 불행을 당하는 것은 하나님이 없다는 증거도 아니고, 하나님이 그들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도 아닙니다. 성숙한 믿음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행과 불행을 초월하여 언제나 하나님의 존재와 다스림을 믿고 의지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때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섭리 안에서 우리에게 고난을 허락 하기도 하시고 때로 징계 하기도 하십니다. 하나님의 뜻에서 벗어나 있음에도 좋은 일이 일어나도록 허락 하기도 하십니다. 따라서 좋은 일이 일어난다고 해서 마냥 좋아할 것도 아니고 불행을 당하고 있다고 하여 하나님의 존재나 사랑을 의심할 것도 아닙니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그분의 다스림 안에 머무는 일입니다. 그럴 때 하나님은 모든 것을 합하여 선한 결과를 만들어내실 것입니다(롬 8:28).
Leave a Reply